학교에서는 수업나눔이라는 이름하에 선생님들이 다른 선생님들 앞에서 수업을 한 번씩 한다.
올해 학교를 옮긴 터라, 피해가기는 쉽지 않다.(사실 이건 case by case 이고 학교가 크면 피해갈 수도..)
수업시간에 핀볼 활용해서 애들 문제 시키고 강의식 위주의 수업을 하는 나에게 선생님들에게 나눠줄 수 있는 수업을 하기는 매우 부담스러운게 사실이다.
이리저리 인터넷을 검색하며 방식을 보던 중, 블루킷( www.blooket.com) 이라는 사이트를 활용한 게임을 접목한 수업을 알게 되었다. 학생들과 게임을 통해서 수업을 하는 방식인데
장점
1. 학생들은 가입할 필요가 없다.
2. 문제를 만들어두면 알아서 랜덤으로 문제가 제시된다.(이건 내가 한 게임에서만 일 수도 있다.)
3. 다양한 게임이 있어 상황에 맞게 적당한 게임을 하면 된다.
단점
1. 영어다.(알아보기 힘들다)
2. 랜덤으로만 해서 차례대로가 안되더라(이건 내가 한 게임에서만 일 수도 있다.)
이 정도의 장단점을 가진 것 같다.
회원 가입 후 로그인을 하면 자기 세트를 만들 수 있다. 아니면 quizlet를 통해서 다른 사람 것을 들고 올 수도 있지만 영어라서.. 그리고 간단한 산수식 문제 풀이와 답 위주가 많아 보여서 자기가 만드는 게 속편하다.
나는 연립방정식 단원에서 문제를 한글에서 수식을 쓴 후 캡쳐로 그림파일로 만들어서 넣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12문제의 일반 문제, 3문제의 넌센스, 3문제의 상식 문제, 2문제의 심화문제를 넣었으며 아예 풀기 힘들어하는 친구들도 참여할 수 있게 상식과 넌센스를 넣었다.
게임은 위에 있는 것처럼 14가지가 있으며 각 게임마다 참여인원이 다르며 방식이 달라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한다. 내가 한것은 GOLD QUEST 라는 제일 위에 왼쪽에서 두 번째인 골드 모으는 게임을 선택했다.
골드모으기 게임은 개인전 또는 2인 팀플이 제일 좋아보였고
위의 그림 처럼 문제를 맞춘 후 상자 3개중에 선택했을 때 다른 것이 나오므로 운 요소가 존재한다.
1. 골드 얻기
2. 아무것도 없는 경우
3. 남의 골드를 일정량 가져오기
4. 다른 사람과 골드 자체를 바꾸기
5. 골드 2배, 3배 늘리기
6. 골드 절반으로 줄어들기
정도가 상자에 있으므로 운이 생각보다 많이 작용한다.
나는 공개수업에 15분간 했으며 호스트 화면에 저렇게 참여인원의 점수 및 등수가 나오므로 실시간으로 열광하는 아이들을 볼 수 있었다.
이렇게 했을 때 생기는 문제점은
1. 아이들이 문제를 풀지 않고 찍는 경우가 생긴다.
학습목표 달성(문제 풀이 방식을 익히는 것)을 위해 나는 게임 뿐만 아니라 학습지를 제공하여 학습지에 풀이하고 답을 적었을 경우 1000점을 더해준다고 했으며 게임의 목표를 말하며 찍지 않도록 지도하였다.
2. 혼자할 경우 자포자기 하는 경우가 생긴다.
짝지로 앉게하여 두명이서 일반문제를 돌아가면서 풀게 하였고 심화,상식,넌센스는 의논해서 하게 하였다. 짝지 구성을 할 때 한 명은 연립방정식을 풀 수 있는 친구로 해야한다.
사실 이렇게 예상했더라도 실제로 하니 마지막 1분쯤가면 틀린 것에 대한 감점이 없으므로 애들이 찍으면서 어떻게든 상자 하나 더 까서 역전을 노린다. 다른 반에서 할 때는 한 반은 골드 바꾸기 상자를 얻은 이후에 끝날 때 대기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돌아다니면서 잘 지도해야 한다.
등수에 따른 적절한 보상을 통한다면 애들이 신나게 떠들면서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실제 수업 때 누군지 지금도 모르지만 뉴욕에 사는 초등학생이 뒤에서 수업을 참관했는데 그 학생이 수업이 끝난 후 소감으로 자기네 학교에서도 하고 있다고 해서 교장선생님이 기뻐하시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두서없이 쓰기는 했는데 누군가의 공개수업 아이템이 되도 될 것 같아 남긴다. 모두 힘내자.
'수업관련 > 교직에서의 경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도 제주도 수학여행 계획 세우기 및 진행 (마지막) (0) | 2024.03.07 |
---|---|
2023학년도 제주도 수학여행 계획 세우기 및 진행 (3) (3) | 2023.08.22 |
2023학년도 제주도 수학여행 계획 세우기 및 진행 (2) (0) | 2023.08.14 |
2023학년도 제주도 수학여행 계획 세우기 및 진행 (1) (0) | 2023.06.27 |
수능 입시지도 결과 정리 및 넋두리(2년차) (0)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