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에 스팩에 대한 이야기를 접하게 되었다. 페이퍼회사로 존재하면서 비상장회사와 합병을 통해 비상장회사가 쉽게 증시에 상장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한다. 그리고 스팩주식으로 모은 금액은 한국증권금융에 예치가 되어 자산이 보호되고 있으며 3년안에 합병할 회사를 찾지 못하면 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는 분배금 계산으로 인해 2년 6개월 이후에 종목이 상장폐지가 되는 듯하다.
여기서 포인트는 한국증권금융에 예치된 후에 이자는 기업이 합병할 때 합병거부 의견을 내서 돌려 받을 때 또는 기업이 합병하지 못하고 상장폐지 될때 한번에 받는다는 것이다. 그럼 2년이 지난 스팩의 경우에 이자를 확인하면 한 번에 많이 받을 수 있지 않나? 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
또한 걱정이 하나 있었는데 스팩 또한 회사로 안에 일하는 직원들이 존재할텐데 인건비는 어떻게 쓰는가 했더니 거의 모든 것은 스팩을 만든 회사가 부담해서 괜찮다고 하는 것을 보았다.(처음 공시할 때 보면 설립자본금, 전환사채발행금액에서 쓴다고 되어있다. 회사는 스팩이 성공할 경우 남들은 2천원으로 공모할 때 전환사채 1천원정도로 하니깐 대박이 나지만 실패할 경우 손해를 보는 구조다) 하지만 실제로 그런지 믿을 수가 없다.
따라서 하나금융16호스팩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우선 하나금융16호스팩은 1월 16일날 관리종목에 들어갔다고 공시를 했으며 2월 16일 18시 50분에 상장폐지 공시를 했다. 상장폐지는 다음 거래일 거래정지 및 다음 7거래일 정리매매후 상장폐지가 된다. 따라서 2월 20일부터 28일까지 7거래일 거래정지가 되었으며 나는 20일날 2000주는 2022.5원 평균으로 4,045,180원 금액을 매수했다. 이후에 3월 2일부터 계좌에서 사라졌다.
이후 3개월 정도 잊고 살다보니 6월 2일날 배당금(스팩도 배당금 취급을 받는다. 따라서 isa계좌나 연금계좌를 활용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다.) 입금이 됐다는 내용과 함께 4,124,650원을 받았다.
결국 이익은 79,470원이 되었고 79490/4045180=0.0196456029150742 으로 1.96프로 정도 수익이 생겼다.
이를 예측할 수 있는데 공시를 통해( 보니깐 공시로 말안해줘서 실제로 회사에 연락하는 사람도 있더라.. 이런 공시가 의무가 아닌건가) 확인할 수 있는데 1년차에는 1.5%, 2년차에 0.47%, 마지막 10개월은 3.25%로 예치금액을 3.25%로 10개월(이거는 이자계산기로 15.4%제외한 가격 계산해야함) 한 이후 총 공모주 3,500,000주로 나누면 2062.3원이라는 청산가가 나온다.
내가 산 가격이 2022.5원이므로 1주에 39.8원이라는 이득이 생긴다. 39.8*2000=79,600원이고 얼추 맞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나는 2월 20일 부터 6월 2일까지 투자를 진행했으며 기간은 3개월 10일 소모하여 1.96프로의 수익을 냈으며 1년으로 환산하게 되면 연 7.23프로 짜리 예금에 들어있던 셈이다. 이 정도면 왠만한 ELS보다도 탁월한 수익을 내는 법이라 본다.
이 방법은 이번에 곧 상장폐지할 종목에 그대로 적용할 생각이다. 내년에 상장폐지할 종목의 경우 예치율이 훨씬 높아 상장폐지 후 받을 분배금도 높다. 주식이 위험하다 싶으면 이런 스팩으로 수익을 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다음 스팩도 성공해보자.
'경제생활 > 이론 및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에이치스팩19호 청산완료(수익률 계산 및 청산분배금 확인) (0) | 2024.04.19 |
---|---|
신생아특례 디딤돌대출 정리(사후심사 공부를 좀 했음) (6) | 2024.03.07 |
정기적금 제 때 못 넣은 경우 만기날짜 확인하는 법(feat. 농협) (4) | 2023.09.15 |
2024년 예산안 읽어보기- 출산혜택 위주로(대출, 육아휴직, 부모급여 등등) (0) | 2023.09.03 |
연말 연금저축 증권사별 행사 내용 및 비교(21.11.8 기준)-(KB, 미래에셋, 한국투자, NH, 삼성, 신한) (0) | 202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