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중학교 떠난지 2년차다. 오늘 친구가 중학교일을 물어봤는데 기억을 못한 것에 충격을 받아 회상하며 정리한다.
혹시나 진학에 관심있는 경주시 학생, 중3 첫 담임에게는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
우선 보통 6월쯤 되면 매년 고등학교 입학전형이 나와있다.
나또한 2022학년도 경상북도 고등학교 입학전형으로 네이버에서 검색해서 파일을 구했다.
그래서 밑에 내용은 올해 기준으로 정리를 했다.
1. 신청기간
학 교 구 분 |
전 기 고 등 학 교 | 후 기 고 등 학 교 | |||||||
산업수요맞춤형고(마이스터고), 특성화고 특별전형, 예·체고 | 특성화고 | 과학고 | 외고, 자사고 | 비평준화 일반고 | 평준화 일반고 |
||||
내신성적 작성 기준일 |
10. 8.(금) | 10. 29.(금) | 3학년 1학기 | 12. 1.(수) | |||||
전형요강 승인신청 | 6. 7.(월)∼6. 11.(금) | 4. 26.(월) ∼4. 30.(금) |
7. 12.(월)∼7. 16.(금) | ||||||
전형요강 공고 | 7. 16.(금) 이전 | 8. 13.(금) 이전 | 5. 14.(금) 이전 | 9. 3.(금) 이전 | |||||
(중) 원서사전등록 |
10. 11.(월) ∼10. 15.(금) |
11. 4.(목) ∼11. 10(수) |
8. 30.(월) ~8. 31.(화) |
12. 3.(금)∼12. 8.(수) | |||||
(고) 원서 접수 |
10. 18.(월) ∼10. 21.(목) |
11. 11(목) ∼11. 16.(화) |
9. 1.(수) ∼9. 3.(금) |
12. 9.(목)∼12. 14.(화) | |||||
1단계 합격자 발표 |
10. 27.(수) | 11. 5.(금) | |||||||
예비 소집 (학교별) |
필요 시 학교별 시행(감염병 등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절 바람) | ||||||||
신입생 전형 | 10. 29.(금) | 11. 19.(금) | 11. 19.(금) | 12. 20.(월) ∼12. 21.(화) |
· | ||||
합격자 발표 | 11. 3.(수) | 11. 24.(수) | 11. 30.(화) | 12. 23.(목) | ’22. 1. 5(수) | ||||
배정 발표 | ’22. 1. 12.(수) | ||||||||
합격자 등록 | 11. 3.(수)~11. 8.(월) | 11. 24.(수)∼11.26.(금) | 11. 30.(화)∼12.1.(수) | 12. 23.(목)∼12. 28.(화) | ’22. 1. 12.(수) ∼1. 14.(금) |
||||
추가합격자 등록 | 11. 9.(화)~11. 11.(목) | 11. 29.(월)∼11.30.(화) | 12. 2.(목)∼12. 3.(금) | 12. 29.(수)∼12. 30.(목) | |||||
추가모집 공고 | 12. 6.(월) | ’22. 1. 4.(화) | |||||||
추가모집 원서접수 | ’22. 1. 5.(수)∼1. 7.(금) | ’22. 1. 17.(월) ∼1. 18.(화) |
|||||||
추가모집 신입생전형 | ’22. 1. 12.(수) | ’22.1.19.(수) | · | ||||||
추가모집 합격자 발표 | ’22. 1. 17.(월) | ’22. 1. 20.(목) | |||||||
추가모집 합격자 등록 | ’22. 1. 17.(월)∼1. 19.(수) | ’22. 1. 20.(목) ∼1. 21.(금) |
|||||||
우선 표에 없는 영재고가 6월의 시작하고, 1학기가 끝날무렵 체육특기자 전형에 대해 준비를 했었다. 그 학교의 특기자 뽑는 인원이 달라지므로 확인을 잘했어야 했다.(그 학교 전화하면 전형 담당하시는 분이 있다.) 2학기가 시작하면 바로 과학고 원서접수를 준비한다. 자소서를 미리 방학때 준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제대로 준비하는 친구는 어디서 준비를 해서 나타나고 예상문제, 면접질문은 카페를 조금만 뒤져보면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올려놓은 것들이 있다. 그리고 10월이 되면 마이스터고, 예고, 특성화고 원서를 넣고 12월에는 일반계고를 넣는다.
2.일반계고 성적 산출법
일반계고 성적을 다룰 때 3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한다.
교과- 240점, 출석- 18점, 봉사- 18점, 행동특성 성적- 12점, 봉사활동 제외한 창의적 체험활동-12점 으로 다 더하면 300점이다.
(1) 출석-18점
결 석 일 수 | 평 점 | 결 석 일 수 | 평 점 |
0일 | 18점 | 9~10일 | 13점 |
1~2일 | 17점 | 11~ 2일 | 12점 |
3~4일 | 16점 | 13~14일 | 11점 |
5~6일 | 15점 | 15~16일 | 10점 |
7~8일 | 14점 | 17일 이상 | 9점 |
결석이 하루면 1점 감점이다. 이는 실제로 나중에 다룰 교과 성적에서 알 수 있지만 1점은 교과성적 총원 144명중 1등 떨어지는 효과다. 그리고 미인정 지각, 조퇴, 결과는 3회가 결석 1일 계산이다.
(2) 봉사-18점
봉사활동 시간 |
2020~2021학년도 | 5시간 이상 | 4시간~3시간 | 2시간 이하 |
그 외 학년도 | 18시간 이상 | 17시간~10시간 | 9시간 이하 | |
봉사활동 점수 | 6점(9점) | 5점(7.5점) | 4점(6점) |
코로나기간은 5시간 이상에 만점을 주어서 대부분이 만점을 받고 진학을 할 것 같다.
(3) 행동특성-12점
행동특성은 학년당 4점씩 하는데 학년당 3점은 기본 점수이고 선행상, 효행상, 모범상 등 실적이 있을 때 학년당 1점씩 받는다. 보통 5월이나 11월에 주는 모범상을 그 해에 받으면 1점씩 올라가는 것이다.
(4) 창의적 체험활동(봉사활동 제외) 성적-12점
마찬가지로 학년당 4점씩 이고 3점은 기본 점수이며 1년동안 반장 또는 부반장을 할 경우 1점, 반년이면 0.5점을 더 준다. 반장 또는 부반장이 아니더라도 학년당 교내상 수상을 한번이라도 하면 1점의 가산점을 받기 때문에 학년당 상 한번씩 받으면 12점을 다 채울 수 있다.
(5) 교과 성적 -240점
성취도 평균 평점의 총합으로 석차를 낸다. 예를들어 (2학년 1학기 국어 a 수학 b 영어 c 3과목) +(2학년 2학기 국어 b 수학 d 영어 c 3과목) +(3학년 1학기 국어 a 수학 b 영어 a 3과목) +(3학년 2학기 국어 b 수학 b 영어 b 3과목) 들었으면 a:5 b:4 c:3 d:2 e:1 로 점수를 부여하여
2학년 1학기 :(5+4+3)/3= 4
2학년 2학기 :(4+2+3)/3= 3
3학년 1학기 :(5+4+5)/3= 14/3
3학년 2학기 :(4+4+4)/3= 4
을 싹 더한 47/3 이 성취도 평균 평점의 총합이다. 보통 자유학기제나 자유학년제로 6학기가 안나오면 점수에 6/n (n은 성적이 있는 학기)를 곱하여 성적을 낸다.
그리고 최상위권에는 중요한 일인데 총합이 같아지면 우선순위가 발생한다.
단 계 | 우 선 순 위 |
1단계 | 3학년 2학기, 3학년 1학기, 2학년 2학기, 2학년 1학기, 1학년 2학기, 1학년 1학기 순으로 학기별 성취도 평점 평균이 높은 자 |
2단계 | 3학년 2학기, 3학년 1학기, 2학년 2학기, 2학년 1학기, 1학년 2학기, 1학년 1학기 순으로 원점수의 평균이 높은 자 (예술/체육교과 제외) |
위의 점수를 통해 석차를 정할 수 있고 석차가 나오게 되면 산출공식
96+144(1-개인별석차/3학년재적자수) 를 이용해서 240점 만점에 얼마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3학년 재적자수 200명에 1등을 하게 되더라도 실제로 96+144(1-1/200)=239.28 이 되어 교과성적 240점 만점이 없어 총점 300점 만점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경주에 남자 인문계 5개 학교( 경주고, 계림고, 문화고, 신라고, 경주예일고) , 여자 인문계 4개 학교 (경주여고, 근화여고, 선덕여고, 경주예일고)가 있고 일반적으로 성적이 나뉜다. 300점 만점으로 했을 때 남자 경주고-300-255 계림고 260-210 문화고 290-200 신라고 나머지.. 예일고는 나 있을때는 없어서 모른다. 여자쪽은 성적분포가 딱 나눠있지가 않다. 성적분포를 나누기 싫은 학교가 자기 중학교 팜에서 다른 제단으로 잘 안보내려고 하기 때문에.. 대충은 경주여고-300-240 근화여고-300-200 선덕여고 300-200 경주예일고- 집가까운사람이나 농어촌 노리는 친구들이었다.
내가 3학년 담임 할때는 점수가 대충 얼만지 알아야 학교를 말할 수 있기 때문에 3학년 1학기까지 성적을 가지고 나이스에서 지원이 아직 안되므로 엑셀을 이용해서 석차를 뽑아 봤었다. 중학교 3학년쯤 되면 자신의 석차를 대략 알 수 있으니깐 식에 집어 넣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3. 고등학교 추천(남자고등학교)
여자고등학교는 거의 내가 나올때는 평준화의 느낌으로 각 학교별로 점수대가 너무 퍼져 있어서 뭐라 추천하기가 힘들다.. 남자 고등학교 추천을 위해 학교별로 이야기 하자면 고등학교에서는 등급을 나눠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교가 시험을 어렵게 낸다. 내신을 공부하는 것이 수능을 준비하는 것이 되므로 시험수준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학교안의 분위기차이인데.. 생활기록부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는데 경주고학생들도 주제를 던지면 그에 더 넘어서는 결과물을 얻어내는건 쉽지는 않지만 계림,문화를 가면 주변 학생들이 스스로 아이디어를 꺼내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280점수 이상의 평범한 학생이면 경주고가 괜찮다고 생각한다. 290점 이상의 학생은 경주고나 문화고를 가게 된다.
내가 여기서 생각하는 것이 계림고가 굉장히 블루오션이라는 것이다. 290 이상이면 문화고나 경주고를 가게 되지만 280이상이면 문화고 특장반은 힘들게 되므로 경주고를 보는 것인데.. 경주고에 가면 280점수가 최상위권은 아니므로 3등급 정도의 내신을 받게 되고, 대학진학에 고교블라인드 전형으로 경기권을 노려봄직하게 된다. (280점이면 거의 중학교에서 15% 수준인데 꿈이 경기권은 아닐 것이다.) 그런데 계림고가 인원수가 적어 등급받기 힘들다하지만 이는 퍼센트로 등급을 주기 때문에 사실 어불성설이고 실력이 비슷한 학생들이 있어서 성적 떨어지기 쉽다고 하는데 반대로 몇년동안 시내권 중학교에서 270점대 위로가 들어오지 않으므로 280점 이상이면 독보적인 실력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 물론 와서 노력하지 않으면 떨어지는건 시간문제겠지만..
오히려 240대나 230대 친구들은 문화고와 계림고 사이에서 고민을 하게 될 것이고 의지만 있으면 그냥 통학거리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220점 밑의 학생은 고등학교에 와서 높은 등급을 보통 잘 받지 못하는데 그럴 경우 사립학교와 공립학교의 생활기록부 대우가 차이가 나길 마련이다. 계림고등학교가 과학중점학교로 과학고와 교육과정이 거의 유사하므로 생활기록부가 지금 블라인드 전형으로 학교이름이 가려진 상태에서 보면 계림고등학교와 과학고가 유사해 더 좋은 점수를 유도해낼 수 있다. 생활기록부 종합전형으로 노리기 좋은학교가 계림고등학교라는 뜻이다.
위의 내용은 중학교 시절 내가 계림고등학교에 그렇게 좋지 않은 생각을 (주변에 애들이 항상 말을 그렇게 하니..)하다가 막상 고등학교로 와서 느낀 감정이 섞여 거의 뭐 계림고등학교 추천말 같지만.. 죄다 사실이다. 객관적으로 자신의 의지만 있으면 그냥 가까운 학교가 짱이다...
중학교 3학년 담임 1~2년을 하게 되면 위의 내용은 어느정도 알게 될 것이고, 또 1년이 지나면 까먹는다... 또 다시 중학교로 내려가면 봐야겠다.
여기까지 검색해서 보는 경주에 있는 중학교 3학년은 없겠지만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면 성심껏 대답하겠다.
'수업관련 > 교직에서의 경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학년도 제주도 수학여행 계획 세우기 및 진행 (2) (0) | 2023.08.14 |
---|---|
2023학년도 제주도 수학여행 계획 세우기 및 진행 (1) (0) | 2023.06.27 |
수능 입시지도 결과 정리 및 넋두리(2년차) (0) | 2023.06.08 |
수능 입시지도 및 원서접수 경험 정리 (2년차) (0) | 2022.09.20 |
수능 원서 접수 및 수시 원서 접수시 알아야 할 꿀팁!!(선생님위주) (1) | 2021.09.17 |